베이비붐 세대 은퇴, 집값 하락?

베이비붐 세대

베이비붐 세대는 처음에는 미국에서 유래한 말이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인구가 급격히 늘어난 세대로 외국에서는 1946년~1964년생이다.

한국은 1차 베이비붐 세대와 2차 베이비붐 세대를 합쳐 19551974년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을 베이비붐 세대라고 부른다.

전후 세대가 만들어내고 고착화시킨 한국의 악습으로 대표적인 것이 부동산 투기라고 한다.

베이비붐 세대가 너도나도 부동산 투기를 하고 전국적으로 집값 상승을 일으킨 것이 비판을 받고 있다.

집값은 내버려둬도 오르지만 심하게 하락할 경우 최악의 1년인 2022년도와 90년대 말 주택 200만 호를 공급했을 때처럼 극단적인 조치를 취했을 때밖에 없다고 평가한다.

그 이유는?

시대 변화와 의학 발전으로 생존 기간이 20년 이상 연장됐기 때문이다.

베이비붐 세대는 이미 은퇴한 상태로 20년을 보내려니 막막하다.

그래서 오직 자산에만 의존해 살아야 하기 때문에 자산에 민감하다.

그래서 자산 증식과 안정적 증여, 연금에 목숨을 걸게 된다.

일본의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대표적으로 하락론자들이 수요 감소의 증거로 내세우는 것이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다.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고 자산을 많이 처분하면 매물이 많이 나오게 돼 집값이 하락할 것이라는 게 의견이다.

미국의 경우 베이비붐 세대라 할 수 있는 55세 이상 자가보유율은 전 세대 평균보다 높은 80%다.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 후 집을 팔았다면 자가보유율이 전체 가구 평균보다 낮게 나와야 한다.

하지만 베이비붐 세대의 자가보유율은 전체 세대 평균보다 높다.

즉 은퇴 후 생활비 마련이 어렵다면 먼저 금융자산을 처분해 주식을 팔고 마지막으로 집을 담보로 역모기지론을 신청한다.

부동산 시세가 좋았던 2004년도와 서브프라임, 리먼브러더스가 무너진 뒤인 2014년을 비교해 보면 집을 가장 많이 처분한 세대는 한창 일할 나이인 3544세다.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내 집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해 집을 판 비율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의 경우최고의 선진국인 미국과 달리 복지 제도가 부족한 한국은 어떨까?① 은퇴한 사람이 집을 팔아 전세로 들어오는가?집을 판 순간, 세입자이다.

전세가 주택 가격보다 싸기 때문에 전세로 살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오산이다.

유·재석이처럼 막대한 소득을 내는 사람이면 압구정 현대에 살고 있고 세금을 절약할 수 있지만 평범한 사람은 올라전세에 부담을 느낀다.

은퇴한 세대가 전세 값이 오르면 아이들에게 손을 뻗쳐야 하지만 아이들도 자신의 삶이 바빠서 전세의 인상분을 주는 것도 어렵다.

게다가 지금은 전세 자체가 줄어들고 월세를 부담해야 할 일도 있다.

그래서, 베이비 붐 세대는 집을 팔지 않고 집을 보유하는 경향이 높다.

② 자산을 처분하고 소비를 하는 것이 현명한?기대 수명이 점점 길어지는 상황에서 제대로 들어오는 현금 자산이 없는데 함부로 소비 때문에 자산을 처분하면 몇년은 지탱할 수 없다.

인생은 생각보다 길다.

짧을지도 모르지만, 은퇴해서 자기가 생각보다 더 장수한다면 어떻게 될까?그런 이유로 은퇴 후 한국인도 집을 팔 사람이 적다.

우리나라도 노년층의 자가보유율이 더 높을 것으로 보인다.

자가보유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60대이며, 지난 5년간 자가보유율이 가장 높아진 연령대는 70대다.

은퇴 후 소득이 없어도 집은 팔면 안 되는 최후의 보루라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그래서 노후 준비가 덜 된 베이비붐 세대는 주택연금에 가입해 생활을 유지한다.

공시지가가 12억원 이하라면 다주택자라도 주택연금에 가입할 수 있다.

그렇게 그 집에서 살면서 생활비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1가구 다주택자의 경우 자산을 처분하기보다는 주택을 월세로 전환해 현금을 받는 방향으로 갈 확률이 높다.

자산을 처분한다면 아이들이나 주변에서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다.

언제 어디서나 부모의 자산을 먹잇감으로 삼으려고 눈을 부릅뜨고 있는 사람이 있는 게 현실이다.

따라서 주택을 처분하는 것보다 주택을 임대하고, 임대료로 생활비를 충당하고, 나중에 자녀에게 그 집을 물려주는 것이 부모 입장에서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드는 한국2020년 기준으로 미국 등 67개국은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전 세계에서 모나코, 일본, 독일, 이탈리아를 포함한 20개국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2020년 노인 비율을 보면 한국은 16.74%로 2020년 기준 세계 49위다.

고령화 비율이 높은 것이 문제가 된다면 한국보다 앞선 48개국에서 먼저 문제가 발생했을 것이다.

한국보다 고령화가 더 빨라진 나라는 대부분 선진국이다.

선진국의 고령화 비중이 더 높은 이유는 의료기술과 서비스가 발달하면서 노인 생존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반대로 고령화가 더딘 나라는 북한이나 캄보디아처럼 의료서비스 등이 떨어지는 것이고, 한국이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된다는 것은 의료서비스가 발달해 선진국이 돼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집값에 대한 분석이었습니다.

공감/댓글 감사합니다.

#주식 #부동산 #주택가격 #하락 #돈 #투자 #재테크 #아파트#고령화#은퇴#주택연금#다주택자